반응형 행동심리학11 비교와 행동 심리2 가격의 비밀 사람들은 생각보다 정액제 요금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혹자는 무한 리필 식당이 망하지 않는 이유가 사람들이 정액제 선호 현상 때문이라고 말하기도 합니다. 최근에는 휴대전화 요금도, OTT 요금도, 수많은 스트리밍 서비스들도 모두 정액제 요금 체계로 되어 있어서 매달 꼬박꼬박 소비자들의 계좌에서 요금들이 빠져나가고 있습니다. 한 연구에 의하면 실제로 정액제가 개별 요금보다 2 ~ 12% 정도 더 많은 요금을 지불하게 된다고 합니다. 그렇다면 사람들은 왜 정액제 요금을 선호하는 것일지 알아보겠습니다. 사람들은 불확실한 것을 기피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사람들은 휴대전화 요금이 또는 식당에서 고기를 먹을 때 최종 비용이 얼마나 나올지 확실치 않은 것을 싫어합니다. 마치 택시를 타고 어딘가를 갈.. 2022. 7. 23. 심리적 회계와 행동 심리 경제학 용어 중 매몰 비용이 있습니다. 매몰 비용이란 이미 지출하여 어떠한 의사결정을 해도 다시 회수할 수 없는 비용을 말합니다. 사람들은 지금까지 해놓은 것 도는 노력이 아까워서, 지금까지 기다린 것 또는 시간이 아까워서, 또는 지금까지 들어간 돈이 아까워서 기존의 의사결정이나 행동을 계속 유지하려는 성향을 매몰 비용 효과(sunk cost effect)라고 합니다. 달리 말하면 시간, 노력, 금전 등 회수할 수 없는 비용을 회수하는데 집착하는 심리라고도 말할 수 있습니다. 매몰 비용 효과 역시 우리가 손실을 이익보다 더 크게 평가하는 심리와 관련이 있습니다. 다른 한편으로는 심리적 회계장부에 손실로 기재를 해야 하는 것과도 관련이 있습니다. 이미 적잖은 돈을 지불했거나 시간과 노력이 투입됐다면 그로 .. 2022. 6. 30. 소유의식과 행동 심리 소유 효과 사람들은 뭔가를 부여받아 자신의 소유가 된 대상에 대해 그 가치를 비이성적으로 높게 평가하는 경향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를 소유 효과(endowment effect) 또는 부존자원 효과라고 합니다. 소유 효과란 사람들이 무언가를 보유하고 있는 것만으로도 무의식적으로 나타나는 현상입니다. 이는 재화의 효용성보다 개인이 해당 재화를 가지고 있다는 것을 기준점으로 삼기 때문에 나타나는 편향성을 말합니다. 사람들은 같은 물건이라도 자신의 소유가 되면 그 소유물을 포기하는 대가로 과도한 보상을 요구하게 됩니다. 이는 사람들이 이득에 따른 만족감보다 손실에 따른 상실감을 더 크게 느끼는 손실 회피 성향과도 관련이 있습니다. 사람들은 절대 손해 보고 싶지 않아 합니다. 그래서 가지고 있는 무언가를 처분하지.. 2022. 6. 19. 이전 1 2 3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