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학/경제학이야기

기업 재무 이해

by 발칙한상상가 2022. 11. 24.
반응형

기업이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경영 활동에 필요한 자금을 어떻게 합리적으로 조달하고 조달된 자금을 효과적으로 운용할 것인지 결정하는 활동을 재무 활동이라고 한다. 예를 들어 도요타 자동차의 TPS는 재료비, 인건비, 관리비 등 기업이 상품이나 서비스를 생산, 공급하는 과정에는 여러 가지 비용이 수반된다. 경영자는 이들 비용을 줄이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이는데 일본 도요타자동차가 TPS(Toyota Production System)라는 물류 시스템으로 원가를 줄인 것이 대표적인 예이다. 하지만 기업의 비용은 회계 장부상의 비용이 전부가 아니다. 기업은 자산을 취득하기 위해 자금을 조달해야 한다. 이 자금도 비용을 발생시키는 이를 자본 비용이라 한다. 은행에서 돈을 빌리면 대출 이자를 내야 하듯이 기업 역시 자본을 제공한 이에게 대가를 지불해야 한다. 기업의 몸값(가치)을 상승시키려면 원가 절감 노력과 마찬가지로 이러한 자본 비용을 줄이려는 노력도 필요하다. 재무 관리(Financial Management)는 좁은 개념과 넓은 개념으로 정의할 수 있다. 우선 좁은 의미의 재무 관리는 기업 재무(corporate finance)라고도 하며, 기업의 자금 흐름과 관련된 활동을 다루는 분야를 지칭한다. 따라서 자금의 조달과 운용, 그리고 그와 관련된 계획 및 통제 등이 연구 대상이 된다. 반면에 넓은 의미의 재무 관리는 기업 재무 외에 유가 증권, 부동산, 외환 등의 투자 의사 결정을 다루는 투자론, 금융 기관, 금융 시장, 금융 제도 등을 다루는 금융 기관론, 선물, 옵션, 스왑 등의 파생 상품과 그들이 거래되는 파생 상품 시장을 다루는 파생 금융 상품론 등 광범위한 연구 분야를 포함하는 재무학을 지칭합니다. 재무 관리의 목표는 자본 조달과 투자 선택의 기준이 되므로 명확하게 설정되어야 한다. 과거 전통적 재무 관리의 목표는 기업의 이익 극대화였지만, 이에 대해서는 많은 논란이 있었다. 이익 개념의 모호성, 화폐의 시간 가치와 미래 현금 흐름의 불확실성, 그리고 회계 처리 방법에 따라 이익이 달라지는 문제가 있었기 때문이다. 따라서 오늘날은 재무 관리의 목표가 기업 가치의 극대화(maximization of firm value)와 자기 자본 가치의 극대화(maximization of equity value)로 인식되고 있다. 이는 기업 소유자인 주주들의 부를 극대화하는 것을 의미한다. 재무 관리는 경영자가 자본조달, 투자, 배당에 대한 효과적인 의사 결정을 하도록 도와 궁극적으로 기업 가치를 극대화하는 기능을 한다. 기업이 '어떤 종류의 자산을 어느 정도로 보유할 것 인가'에 대한 의사 결정으로 기업의 미래 현금 흐름과 영업 위험을 결정한다. 어떤 자산을 소유하는가에 따라 기업의 수익성과 성장성이 달라진다. 기업의 지속 가능한 활동을 위해서는 투자 자본(자금)이 필요하다 이러한 자본의 원활한 조달은 기업의 성장은 물론 존속에도 큰 영향을 미친다. 자본 비용이란 기업이 조달 운영하고 있는 자본과 관련해서 부담하는 비용이다. 투자에 소요되는 자본을 어떻게 효율적으로 조달할 것인가에 대한 의사 결정은 자본 비용을 최소화하는 자본과 부채의 비율을 찾아 최적의 자본 구조가 되도록 결정하도록 돕는다. 투자 결정 및 자본 조달 결정으로 창출된 기업의 순이익 중 얼마를 주주에게 배당하고 얼마를 기업 내에 유보할 것인가에 대한 의사 결정으로, 사내 자본 조달 결정과 연결되므로 자본 조달 결정의 한 형태로 볼 수 있다. 재무상태표는 기업의 재무 상태, 즉 자산과 부채, 자본의 구성을 나타내는 표이고 재무상태표의 왼편(차변)은 기업의 투자 활동의 결과(자산) 자산은 크게 유동 자산과 비유동 자산으로 구분되고 재무상태표의 오른편(대변)은 기업의 자금조달 내역 나타난다. 조달된 자금은 크게 부채와 자본으로 구분 부채(타인 자본)는 유동 부채와 비유동 부채로 구분합니다. 재무 관리에는 두 가지 원리를 반드시 알아야 한다. 하나는 화폐의 시간 가치에 대한 원리이고, 다른 하나는 위험과 수익률의 원리이다. 이 두 원리는 재무 관리를 뒷받침하는 핵심 개념이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