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행동경제학13 행동경제학 핵심이론 사람들은 생각지도 못한 사이에 틀에 박힌 사고를 하곤 합니다. 행동경제학의 핵심 이론과 함께 우리의 비합리적인 의사결정 과정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의사결정을 좌우하는 '직감' 우리는 사물을 직관적으로 대략 파악하고 의사결정을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것을 행동경제학에서는 '휴리스틱'이라고 부릅니다. 휴리스틱(heuristic)이란 어림짐작으로 판단한다 또는 직감적으로 이해한다는 것입니다. 다시 말해 약간의 노력으로 빠르게 결론을 도출하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우리나라 인구는 몇 명이냐는 질문을 받았다면, 매체에서 약 5,200만 명 정도로 본 적이 있어 그 기억에 의지해 대답을 합니다. 복잡한 정보를 단순하게 파악하는 심리적 경향으로 휴리스틱이란 어떤 정보를 자기 나름대로 이해하거나 그 정보를 사용하.. 2022. 11. 21. 기업의 영업전략-행동경제학 관점- 행동경제학이 많이 활용되는 분야 중 하나가 마케팅입니다. 따라서 소비자는 기업의 갖가지 판매 전략에 현혹되지 않기 위해 행동경제학 관점의 지식이 필요합니다. 손해를 피하고 싶은 마음은 금전적 손실 이외의 경우에도 발생합니다. 광고 등에서 우리의 그런 심리를 이용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손해를 피하고 싶은 심리를 자극하는 영양제 광고 등이 있습니다. 가치 함수 그래프로 바라보면, 손해를 피하고 싶은 마음은 많은 사람의 진심이라고 생각합니다. 한번 손에 넣은 플러스 가치는 줄이고 싶지 않습니다. 그래서 이익을 얻는 경우, 우리는 그 이익 수준에 만족하고 즉시 이익을 확정하게 됩니다. 화장품 샘플을 써 볼 때마다 본 제품을 사는 사람도 있습니다. 이는 샘플에서 얻은 만족감을 계속 느끼고 싶다는 심리에 영향을 받.. 2022. 11. 21. 전통 경제학의 고찰 전통 경제학은 인간이 항상 합리적이라고 전제해 왔습니다. 하지만 그 전제만으로 복잡한 경제 현상을 모두 설명할 수는 없습니다. 인간은 항상 '합리적'인 것은 아니다. 전통 경제학에서는 우리가 감정에 휩쓸리지 않고 자신의 이익을 위해서 행동하는 합리적인 인간이라고 전제해 왔습니다. 탐정 소설과 영화, 드라마에 종종 등장하는 감정 표현이 없고 무미건조하여 외적 동기에 영향을 받지 않는 사람을 상상하면 될 것입니다. 그것이 정통 경제학에서 말하는 호모 에코노미쿠스(homo economicus) '합리적 경제인' 하지만 날마다 우리는 이상한 일을 하곤 합니다. 때때로 합리적이라고 할 수 없는 이상한 행동을 하는 것이 인간입니다. 한 사람 한 사람이 취향이나 습관, 감정 등을 모두 취합하여 공통점을 찾고 경제에 .. 2022. 11. 21. 행동경제학 주목받는 이유 21세기에 들어 2002년 대니얼 카너먼을 필두로 3명의 행동경제학 연구자가 노벨 경제학상을 수상했습니다. 그 뒤 2013년에는 예일 대학의 로버트 시럴 교수가 주식 등을 거래하는 금융 시장은 기존에 가정된 것과 다르게 합리적이지 않음을 밝혀내 노벨 경제학상을 수상했습니다. 2017년에는 시카고 대학의 리처드 세일러 교수가 이후에 소개할 이론을 필두로 행동경제학을 체계화하고, 학문적으로 확립한 공로를 인정받아 노벨 경제학상을 수상했습니다. 간략하게 넛지 이론은 팔꿈치로 슬쩍 찌른다는 뜻으로 직접 눈치채지 못하게 하면서, 특정인이나 사람들을 합리적이라고 생각되는 바람직한 방향으로 유도하는 행위를 말합니다. 행동경제학자 중 노벨상 수상자들 2002년 대니얼 카너먼, 2013년 로버트 실러 : 미국 경제학자,.. 2022. 11. 19. 이전 1 2 3 4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