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경제학77

월마트와 세븐일레븐의 물류 네트워크 경제학 1962년 3월 1일 미국에서 최초의 종합 할인점 디스카운트 스토어가 탄생한다. A&P나 울워스 같은 중소 점포가 아니라 수만 가지 아이템을 취급하는 박리다매의 대규모 잡화 점포가 생겨난 것이다. 바로 K마트다. K마트는 이미 중소백화점을 거느린 커다란 규모의 일용잡화 체인이었으나 사장 해리 커닝햄은 주주들의 반대를 무릅쓰고 종합 할인점으로 단숨에 업태 전환을 시도했다. 그해에만 18개 점포 4년 후 162점포의 문을 연 K마트는 2개월 후에 같은 할인점포를 연 다른 회사를 제치고 업계 1위에 올랐다. 하지만 종합 할인점은 수만 가지 아이템을 취급하기 때문에 팔지 못하는 상품을 대량으로 떠안고 있어야 했다. 그래도 인구가 많은 큰 상권에 집객효과가 높은 원스톱형 대형점포를 낮은 비용으로 운영했기 때문에 .. 2022. 12. 3.
화폐의 시간 가치와 위험과 수익률 관계 화폐의 시간 가치가 어떤 원리인지를 학습하기 위해서 다음의 두 사람의 대화를 살펴보기로 합시다. A : 나 100만 원만 빌려주라, 1년 정도 쓰다 갚을게 B : 어? 1년이나? A : 1년 쓰고 100만 원 그대로 갚을게. B : 이거 완전히 도둑놈 심보네, 친구 맞아? A : 내가 왜 도둑이야? 그대로 갚는다니까? 돈은 액수가 같다고 할지라도 돈을 언제 받느냐(주느냐)에 따라 그 액수에서 얻는(사라지는) 가치가 서로 다르다. 즉 액수는 같을지라도 시점에 따라 가치가 달라지는 것이다. A에게 빌려주는 100만 원은 B에게는 투자에 대한 기회비용을 발생시킨다. 이는 빌려가는 기간이 길어질수록 커진다. 따라서 A는 B에게 이러한 기회비용에 대한 보상으로 B가 만족할만한 이자를 지급해야 하며, A에게는 그 .. 2022. 11. 24.
자본잠식-자기 자본이 줄어드는 현상- 부실기업 논란이 제기될 때면 언제나 등장하는 용어가 바로 '자본잠식'이다. 기업이 영업 활동을 통해 순이익을 올리면 자기 자본이 쌓인다. 그러나 모든 기업이 순이익을 거두는 것은 아니다. 적자 때문에 기업이 원래 갖고 있던 자기 자본이 줄어드는 현상을 자본잠식이라고 합니다. 자본잠식은 말 그대로 하면 자본이 깎여나간다는 뜻입니다. 그렇다면 기준이 되는 자본은 무엇일까? 회계에서 자본 항목은 크게 자본금과 잉여금으로 구성된다. 자본금은 주식의 총가치로 '발행 주식수 * 액면가'가 기업의 자본금이 된다. 잉여금은 주가가 액면가보다 높을 때 새로 주식을 발행해 발행가와 액면가의 차액만큼 회사가 벌어들인 주식 발행 초과금이나 회사가 영업을 통해 벌어들인 이익 가운데 주주에게 배당금을 지급한 뒤 회사 내부에 쌓아.. 2022. 11. 22.
행동경제학 전망 지금 이 순간에도 행동경제학의 새로운 이론이 발표되고 있습니다. 우리에게 야성적 충동(기업가 정신)과 자기실현 욕구가 있는 한 기업은 계속해서 새로운 상품과 서비스를 개발함으로써 사회를 변화시킬 것이고 그 변화는 행동경제학의 발전으로 이어집니다. 이미 마케팅이나 금융업계에서는 소비자가 투자자의 심리에 주목한 전략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실천들이 이론 구축의 토대가 됩니다. 로버트 실러, 리처드 세일러 교수를 비롯한 행동경제학 연구자 상당수는 컨설팅 기업과 투자자문 회사와의 협력을 통해 이론을 실천하고 실무에서 얻은 경험을 바탕으로 새로운 연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실천과 연구의 상호작용으로 한층 더 흥미로운 전개가 펼쳐지리라 기대합니다. 마음의 움직임을 지시하는 곳은 '뇌'입니다. 뇌가 어떻게 작동.. 2022. 11. 22.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