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심리학87 현명하게 인터넷을 활용하는 방법 많은 사람들은 필요에 따라 산만한 상태에서 집중하는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그러나 방금 주장한 대로 이 생각은 심하게 낙관적이다. 두뇌는 한번 딴짓하는 상태로 바뀌면 거기에 빠져든다. 우리의 전략은 이 점을 고려하여 두뇌가 과제에 머물러 있는 상태를 유지하는 데 초점을 맞춘다. 자세한 내용을 제시하기 전에 문제를 해결하는 데 그다지 도움이 되지 않는데도 흔히 추천되는 인터넷 안식일(디지털 디톡스라고도 부른다.)부터 살펴보자 기본적으로 이 의식은 대게 일주일에 하루 동안 인터넷을 쓰지 않는 것이다. 구약 성서에서 안식일이 되면 신과 그 노고에 감사드리며 고요와 성찰의 시간을 갖듯이 인터넷 안식일은 화면에 눈길을 고정시킨 동안 놓친 것들을 상기하기 위한 시간이다. 누가 먼저 이 개념을 제시했는지.. 2022. 12. 22. 성장형 인간의 탄생 심리학자 매슬로는 성장은 인간의 보편적인 욕구라고 말했다. 인간이 성장을 원하는 이유는 생물학적으로도 설명할 수 있다. 우리가 무언가를 성취하면 뇌에서 도파민이라는 호르몬이 분비되어 즐거움을 느끼게 한다. 사람들이 게임을 하는 이유도 '미션 수행(행동) → 보상/레벨업(도파민)'이라는 성장의 메커니즘은 즉각적으로 경험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인간이 항상 성장을 지향하지는 않는다. 매슬로는 성장지향적 동기와 그 반대 방향으로 줄을 잡아당기는 안전지향적 동기 모두 인간에게 존재하며 경합을 벌인다고 말한다. 성장의 방향으로 움직이는 사람들 내부적으로 혹은 사회적으로 변화가 일어났음을 의미한다. 적극적으로 자신의 삶을 주도하는 성장형 인간의 등장은 성공을 바라보는 관점의 변화로부터 시작한다. 성공을 정의하.. 2022. 12. 20. 감정 지능 관리법 디지털로 소통하고 생활하는 것이 익숙한 현대인들은 감정 표현을 할 때에도 자신보다 더 잘할 수 있는 매체를 선호한다. 이 때문에 일상생활에서 자신의 감정을 직접적으로 표현하기보다 무언가를 거쳐 간접적으로 표현하는 사람들이 늘고 있다. 그 대표적인 예가 이모티콘이다. 이제는 디지털 세계의 또 하나의 언어가 된 이모티콘의 이용은 2019년에도 꾸준한 상승세를 이어갔다. 이모티콘 구매는 매년 평균 27%의 증가율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용 건수뿐만 아니라 이용 금액, 이용자 수 모두 비슷한 비율로 매년 계속해서 증가하고 있다. 1987년생부터 1996년생에 해당하는 일본의 유토리 세대는 4~5년 전부터 본격적으로 사회의 진출하기 시작했다. 이들 중 대부분은 한 자녀 가정에서 자라 혼나는 일에 익숙하.. 2022. 12. 17. 행동과 두뇌 발달의 관계 대학생에게 책을 묵독하게 한 다음 뇌 상태를 관찰해 보니 좌우뇌의 전전두엽 부분이 광범위하게 활성화되었다고 한다. 전전두엽은 감정과 판단, 예상이나 남을 배려하는 마음 등 인간을 인간답게 만드는 데 직접 관련이 있는 부분이다. 다시 말해 책을 읽는 행위는 책에 담긴 지식을 얻게 하면서 뇌 기능도 향상한다. 그리고 묵독에 이어 음독을 시켜보았다. 즉 문장을 소리 내어 읽으라고 했다. 그러자 뇌는 더욱 광범위하게 활성화되었다. 이 실험을 한 사람은 도호쿠대학의 가와사마 류타 교수이다. 그가 한 말을 이야기하면 '오랜 세월 동안 뇌 기능을 연구해 왔는데, 음독을 할 때만큼 뇌 영역이 골고루 활성화된 예가 없었다. 인간의 뇌를 가장 활성시키는 행동은 아마도 음독이 아닌가 싶다.' 음독은 하루에 10분 정도만 해.. 2022. 12. 15. 이전 1 ··· 12 13 14 15 16 17 18 ··· 22 다음 반응형